본문 바로가기
일상다반사

무지외반증 뜻 특징 원인 군대 면제 기준

by 프로잉여킹 2024. 7. 25.

무지외반증은 엄지발가락이 두 번째 발가락 쪽으로 휘어지면서 엄지발가락 관절 안쪽이 튀어나오는 질환입니다. 튀어나온 부분이 신발에 닿아 통증을 유발하고 심하면 보행 장애까지 일으킬 수 있습니다.

 

무지외반증의 주요 특징

 

  • 엄지발가락 변형: 엄지발가락이 두 번째 발가락 쪽으로 휘어집니다.
  • 엄지발가락 관절 돌출 : 엄지발가락 관절 안쪽 부분이 튀어나와 신발에 닿아 통증을 유발합니다.
  • 통증 및 염증: 돌출 부위에 지속적인 마찰과 압력으로 인해 통증, 염증, 부종이 발생합니다.
  • 보행 장애: 심한 경우 발가락 변형과 통증으로 인해 정상적인 보행이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무지외반증 원인

 

유전적 요인: 가족력이 있는 경우 발병 확률이 높아집니다.

후천적 요인: 굽이 높거나 발볼이 좁은 신발을 자주 신는 경우 발생할 수 있습니다. 평발, 류마티스 관절염 등도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무지외반증 군대 면제 기준

 

라인벨라 무지외반증 교정기 2개 의료기기 엄지 발가락 교정 : 라인벨라

[라인벨라] 스포츠ㆍ일상ㆍ재활까지 💘 보호대 전문 브랜드 👍

smartstore.naver.com

 

무지외반증은 병역판정검사에서 면제 판정을 받을 수 있는 질병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모든 무지외반증이 면제되는 것은 아닙니다. 면제 기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5급 ( 전시근로역 )

 

양측 모두 엄지발가락 중족-족지 관절이 내측으로 25도 이상 휘어진 경우 ( X-ray 검사 기준 )

 

양측 모두 엄지발가락 중족-족지 관절이 내측으로 15도 이상 휘어지고, 다음 중 한 가지 이상 해당되는 경우

 

  • 엄지발가락 발허리뼈가 두 번째 발가락 발허리뼈와 겹치는 경우
  • 통증으로 보행이 곤란한 경우 ( 최근 6개월 이내 3개월 이상 치료 기록 필요 )
  • 무지외반증으로 인한 굳은살이나 티눈이 자주 재발하는 경우 ( 최근 6개월 이내 3개월 이상 치료 기록 필요 )

 

4급 ( 보충역 )

 

위 5급 기준에 해당하지 않지만, 엄지발가락 중족-족지 관절이 내측으로 15도 이상 휘어진 경우 ( X-ray 검사 기준 )

 

그런데

 

전시근로역과 보충역이 뭘까?

 

라인벨라 무지외반증 교정기 2개 의료기기 엄지 발가락 교정 : 라인벨라

[라인벨라] 스포츠ㆍ일상ㆍ재활까지 💘 보호대 전문 브랜드 👍

smartstore.naver.com

 

5급 전시근로역과 4급 보충역은 모두 군 복무를 하지 않지만, 그 역할과 의미는 다릅니다. 쉽게 알아보겠습니다.

 

5급 전시근로역

 

  • 비유: 전쟁이 나면 군인들을 돕는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면, 군수물자를 생산하거나 운반하는 일을 할 수 있습니다.
  • 현실: 평시에는 병역 의무가 면제되지만, 전시에는 국가가 필요로 하는 곳에서 일해야 합니다.
  • 신체 등급: 현역이나 보충역으로 복무하기에는 건강 상태가 좋지 않지만, 전시에 필요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사람에게 해당합니다.

 

4급 보충역

 

  • 비유: 현역 군인처럼 전투에 참여하지는 않지만, 군대 내에서 행정, 시설 관리, 취사 등의 업무를 지원하는 역할을 합니다.
  • 현실: 사회복무요원( 공익근무요원 )으로 복무하며, 사회 각 분야에서 공익을 위한 활동을 합니다.
  • 신체 등급: 현역으로 복무하기에는 건강 상태가 좋지 않지만, 사회복무요원으로서의 임무 수행에는 문제가 없는 사람에게 해당됩니다.

 

정리

 

구분 5급 전시근로역 4급 보충역
역할 전시에 군인 지원 사회복무요원으로 복무
평시 병역 의무 면제 사회복무요원으로 복무
신체 등급 현역/보충역 복무 불가, 전시 업무 수행 가능 현역 복무 불가, 사회복무 가능

 

 

예시

 

  • 무지외반증 5급: 평소에는 일상생활에 큰 지장이 없지만, 군화를 신고 장시간 행군하거나 훈련하기 어렵습니다. 전쟁이 나면 군복을 만드는 공장에서 일할 수 있습니다.
  • 무지외반증 4급: 평소에 통증이 심하지 않고 일상생활에 큰 지장이 없지만, 군사 훈련을 받기에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사회복무요원으로 복무하며, 구청이나 복지관 등에서 행정 업무를 지원할 수 있습니다.

 

무지외반증-뜻-특징-원인-군대-면제-기준